2. “친구 끊고 공부해” 우정파괴 메가스터디

“친구 끊고 공부해” 우정파괴 메가스터디


벚꽃 흐드러진 길에서 교복 입은 두 소녀가 웃고 있다. 다정한 친구 사이로 보인다. 그 왼편, 편지지 바탕에는 11줄짜리 글이 적혀 있다. 

“새 학기가 시작되었으니/ 넌 우정이라는 그럴듯한 명분으로/ 친구들과 어울리는/ 시간이 많아질 거야/ 그럴 때마다/ 네가 계획한 공부는/ 하루하루 뒤로 밀리겠지/ 근데 어쩌지?/ 수능 날짜는 뒤로 밀리지 않아.”

 대형 입시업체 ‘메가스터디’의 ‘2013년 캠페인’ 광고는 경고성 메시지로 끝맺는다. “벌써부터 흔들리지 마/ 친구는 너의 공부를 대신해주지 않아.”

 새 학기를 앞두고 내놓은 이 광고는 현재 일부 서울 시내·마을버스 등에 붙어 있다. 이를 퍼나르는 누리꾼들을 통해 광고를 본 학생들도 많다. 10대라고 밝힌 한 누리꾼(@Tiffanis****)은 “우리 학교에선 이미 ‘우정파괴 광고’로 유명하다”고 전했다. 조상식 동국대 교육학과 교수는 “시험 잘 치려면 친구를 버려야 한다는 강박관념을 부여하려는 것”이라며 개탄했다.

 입시경쟁 속에서 청소년들은 가뜩이나 ‘친구’를 잃어가는 상황이다. 2011년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분석 보고서를 보면, 지역사회·교내 자치활동에서 청소년의 참여 정도를 나타내는 ‘사회적 상호작용 역량 지표’에서 한국 청소년들은 36개 나라 청소년 가운데 35위를 차지했다. 또래 등과 대인관계를 형성하는 능력이 현저히 떨어진다는 걸 보여주는 지표다.

 지난해 4월 서울시교육청이 초·중·고교생 26만여 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자료를 보면, ‘친구들과 사이가 원만해서 좋다’는 문항의 만족도 지수에서 고등학생은 5.0만점에 3.20점으로 나타났다. 초등학생 4.42점, 중학생 4.24점과 비교된다. 입시경쟁이 본격화할수록 동급생을 친구가 아닌 치열한 경쟁자로 인식한다는 방증이다.


 이영탁 서울 수락중 교사는 학교에서 친구를 사귀는 것을 통해 인생에서 진짜 배워야 할 것을 배운다고 지적한다. “교육이 추구해야 할 가치는 협력과 협동이고, 실제로 상급학교 진학은 물론 인성을 위해서도 친구들과 어울리고 융합할 줄 아는 태도가 중요하다”는 것이다.

 무엇보다 이런 광고가 버젓이 등장하는 배경에는 왜곡된 교육 현실이 자리잡고 있다는 지적이다. 조상식 교수는 “이 광고는 인간관계를 끊는 게 시험 전략으로 제시되는 것이 우리 교육의 수준이란 걸 반영하는 동시에 학부모·학생들이 학교를 ‘좋은 상급학교’ 진학을 위한 도구로만 인식하고 있다는 걸 보여준다”고 말했다.

 사교육업체의 ‘비교육적인’ 광고가 논란이 된 게 처음은 아니다. 2008년 사교육업체 ‘대교’는 ‘이등병의 편지’를 배경음악으로 깔고, 입영통지서를 받아 든 것처럼 심각한 표정을 지으며 놀이터와 이별하는 초등학교 입학생의 모습을 광고로 내보냈다. 경쟁 교육에 휘말린 사회 분위기가 이런 광고를 재생산하고 있는 셈이다.

 메가스터디 쪽은 “새 학기가 됐으니 열심히 공부하자는 메시지를 전달하는 과정에서 10대들에게 가장 와닿는 소재인 ‘친구’를 차용했다. 캠페인 광고인 만큼 속뜻을 이해해 달라”고 말했다. 김승현 ‘사교육 걱정 없는 세상’ 정책실장은 “학생들의 불안을 이용하는 것은 상식을 벗어난 상술”이라고 지적했다.

엄지원 박수진 기자, <한겨레> 2013-02-26, 기사



대형 입시업체 메가스터디의 ‘우정파괴’ 광고가 인터넷 세상을 들썩이게 했습니다. 한 인터넷 포털에는 6700여개가 넘는 댓글이 달렸고, 페이스북에서도 1000회 넘게 공유됐습니다.

많은 네티즌과 언론은 이 광고에 대해 “시험 잘 보려고 친구를 버리라는 말이냐”며 메가스터디가 비도덕적이고 비교육적인 내용을 선전한다고 비판했습니다. 하지만 혹자는 메가스터디에 대한 비난을 넘어 한국의 교육 현실을 고민해야 한다고 말합니다. 우정 혹은 친구 간의 인간관계와 같은 가치들과 ‘공부’를 대립항으로 설정하는 한국의 교육 현실에 대해 고민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친구는 너의 공부를 대신해주지 않아”라는 말은 사실 이미 교육현장에서 많은 교사들이 해온말이기도 합니다.

이런 가운데 교육운동단체 ‘사교육 걱정없는 세상’이 이 광고를 비틀어 제작한 ‘패러디 광고’가 화제입니다. 패러디 광고는 메가스터디 광고와 비슷한 형태로 만들어졌습니다. 교복을 입고 웃고 있는 두 명의 여학생이 있고 왼쪽에는 광고 문구가 있습니다. 다만 그 내용이 확연히 다릅니다.


“새 학기가 시작되었으니 넌 성적이라는 어쩔 수 없는 명분으로

학원가를 헤매는 시간이 많아질 거야.

그럴 때마다 너의 우정은 하루하루 서랍 속에서 미뤄지겠지. 

근데 어쩌지?

우정 없이 최고가 된들

성적이 너의 우정을 대신해주지 않아.

 벌써부터 흔들리지 마!

어른들이 너의 우정을 만들어주지 않아.”


‘성적을 위해 친구를 버리라고 부추긴다’는 비판을 받았던 메가스터디의 광고와 대조됩니다.